2025.4.26 (토) 민15:22-31

2025.4.26 (토) 민15:22-31 범죄자를 재판할 때 죄질이 나쁘거나, 또는 정상 참작의 여지가 있다 등으로 구분한다. 하나님의 법에서도 마찬가지로 용서받을 수 있는 죄가 있는가 하면 절대 용서받을 수 없는 죄가 있다. 본문은 죄 용서의 기준을 제시한다. 1 부지중에 지은 죄에 대해 속죄제를 드리는 규정(22-24)은 레위기4장에도 이미 주어져 있다. 부지중에 지은 죄는 용서하신다는 사실을 모세를 통해 말씀하신다. 죄라고 생각하지 못하고 행한 것 뿐 아니라, 순간적 욕심이나 우발적인 분노 등으로 행한 죄와 범죄 이후에 곧 후회하고 잘못을 인정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보인다. 만약 가데스 바네아에서 이스라엘 백성이 반역을 했어도 회개하고 열 명의 정탐꾼인 족장들을 위해 숫염소로 속죄제를 드리고 제사장이 그 죄를 속죄함으로써 문제가 해결되었을 수도 있었다(24-28; 레4:14, 22-23, 27-28). 이처럼 하나님은 이미 백성의 연약함을 알고 계시기에 언제라도 회개하고 돌아오기만 하면 즉시 용서하시고 그 죄를 다 잊으시는 분이시다(사43:25). 2 그러나 ‘고의로’(히: ‘높이 든 손으로) 죄를 범한 자에게는 용서가 없다(30). 고의로 죄를 범해 하나님의 말씀을 멸시하고 계명을 깨뜨린 사람은 여호와 하나님을 비방한 것이 된다. 하나님을 원망할 때는 참고 계셨다가 그들이 여호수아와 갈렙에게 돌을 던지려 하자 심판을 선언하신 것이 바로 이 때문이다(14:10). 돌이킬 기회를 주셨지만 오히려 돌을 든 손으로, 즉 ‘높이 든 손으로’ 갈렙과 여호수아를 죽이려 했기에 용서하지 않으신 것이다. 가데스 바네아 사건 이후 이스라엘이 광야에서 보낸 38년의 기간은 가나안 땅을 향한 소망을 확고하게 하는 시간인 동시에 이스라엘 백성 중에 머물 자격이 없는 자들이 솎아지는 시간이기도 했다. 광야 같은 세상을 살아가면서 하나님 나라의 소망을 더 확고하게 품고 살아가는 알곡 같은 성도가 되어야 한다. 주님, 회개하고 용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