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3.29 (토) 민6:13-27

2025.3.29 (토) 민6:13-27 이스라엘의 힘은 거룩함에서 나온다. 그래서 지성소에 들어갈 수 있는 대제사장이 가장 거룩한 자로 여겨졌고, 나실인 역시 그와 비슷하게 거룩한 사람으로 여겨졌다. 거룩한 이들이 어떤 인정과 권세를 가지게 되는가? 1 나실인이 서원 기간을 마치면 회막 문 앞, 즉 성소 뜰에서 마치 제사장 위임식 같은 제사를 드린다(13; 출29; 레8). 제사장을 세울 때처럼 나실인이 서원 기간을 마칠 때도 속죄제와 번제와 화목제를 드린다(14, 16-17; 레8:14, 18, 22). 무교병과 기름 섞은 과자와 기름을 바른 전병이 추가되는 것도 마찬가지다 (15; 출29:2). 제사장을 세울 때 드리는 송아지 대신에, 나실인 제사에서는 어린 암양을 속죄제로 드린다. 제사장의 자손이나 레위인이 아니어도, 여자라도 제사장과 거의 차이가 없는 제사를 하나님 앞에 드리는 영광이 있다. 거룩을 지키는 것은 이처럼 영광스런 일이다. 2 제사장 위임식에는 숫양의 피를 제사장의 오른쪽 귓불과 엄지손가락, 엄지발가락에 바르는 절차가 있는데, 나실인의 경우는 서원 기간에 보존했던 머리카락을 화목제물과 함께 제단에 태워 드리는 절차가 있다(18; 레8;24). 제사장으로 세워진 자들이 하나님 앞에 요제를 드리는 것처럼, 나실인 서원 기간을 마친 자도 제사장과 함께 요제를 드린다(19-20; 레8:26-27). 자신을 하나님께 드려 거룩하게 구별했던 헌신의 기간을 하나님이 인정하시고, 이스라엘 백성에게도 중요한 영적 영향력을 끼치게 하셨다. 제사장이 아니어도, 레위인이 아니어도, 자신을 거룩하게 지키는 훈련을 통과한 자를 이처럼 하나님은 인정하신다. 3 거룩하게 구별된 제사장들은 거룩한 곳, 즉 성소에 들어갈 수 있는 거룩한 이들이었다. 그래서 이들에게는 이스라엘 자손을 축복할 권세가 주어졌다(22-23). 이 축복문은(24-26) 매우 정교한 시적 언어로 3 문장으로 되어 있는데, 첫 문장에서 셋째 문장으로 가면서 각각 2단어, 2음절, 5글자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