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2.12 (수) 요12:1-11

2025.2.12 (수) 요12:1-11 시간과 재물은 우리의 믿음을 가늠해 보는 시금석이다. 사람은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에 시간과 재물을 사용한다. 본문에서 마리아와 가룟유다는 재물에 대한 상반된 마음을 보여준다. 이들을 통해 우리가 배워야 할 재물에 대한 교훈은 무엇일까? 1 유월절을 6일 앞두고 예수님께서 나사로의 집을 방문하셨다. 주님을 위한 잔치가 벌어졌다. 그런데 그 자리에서 마리아가 나드로 만든 값비싼 향유를 예수님의 발에 붓고 자기 머리카락으로 주님의 발을 닦아 들였다. 그 향유는 노동자의 1년 치 품삯에 해당하는 값비싼 것이었다. 예수님을 제외하고 다들 마리아의 이런 행동을 의아하게 생각했다. 허비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그러나 주님은 사람들에게 마리아가 당신의 장례를 위해 헌신했다고 말씀하셨다. 제자들도 간파하지 못했던 주님의 죽음을 내다보고 있었던 것이다. 그녀에게 예수님이 얼마나 소중한 분이었는지 알 수 있다. 재물을 사용하는 곳에 우리 마음이 머문다(마6:21). 우리가 하나님께 드리는 예물에 주님을 향한 ‘순전한’ 감사와 사랑이 담겨있어야 한다. 2 마리아의 행동을 두고 가룟 유다는 값비싼 향유를 예수님의 발에 부어 낭비했다고 비난했다. 차라리 가난한 자들을 돕는 데 쓰는 것이 맞다고 책망했다. 그러나 사실 가룟 유다는 탐욕의 사람이다. 탐욕에 사로잡혀 예수님의 죽음을 준비하기 위해 향유를 바른 것을 전혀 인식할 수 없었다. 또 재물을 훔치는 자였다. 재물에 대한 욕심은 예수님과의 관계를 훼방하는 심각한 요소다. 부자 청년이 예수님을 찾아와 영생 얻는 비결을 물었을 때 그의 마음 속에 있던 욕심을 버릴 수 없어 그는 근심하며 떠나갔다. 하나님보다 재물을 더 사랑해선 안 된다. 돈에 대한 우리의 욕심을 하나님은 다 보신다. 욕심을 비울 때 우리는 예수님을 진정으로 사랑할 수 있다. 마음을 비우고 주를 향한 사랑으로 그 빈 곳을 채우자. 주님,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맡기신 주신 재물로 하나님을 진정 영화롭게 하는 저희가 되게 하소서!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3.6 (목) 요18:28-40

2025.2.28 (금) 요16:25-33

2025.3.28 (금) 민6: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