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9.21 (토) 느10:32-39
2024.9.21 (토) 느10:32-39
드디어 예루살렘 성전과 성벽 재건을 마쳤지만, 귀환 공동체가 성전제사를 운영하고, 유지하는 모습을 통해 우리가 바치는 헌금이 어떤 의미이며, 공동체의 재정을 어떻게 운영해야 하는가를 배울 수 있다.
1 성전 제사는 하나님의 백성의 거룩함을 위한 요소였다. 제사장과 레위인들의 생활비, 제물과 땔감 등을 위해 성전세를 걷기로 결의한다. 그런데 그 액수가 1/3세겔이다. 율법에는 성전세를 1/2 세겔로 규정하기에 율법을 제대로 따르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32; 출30:13, 15). 그러나 본문은 이들의 결의를 비난하지 않는다. 페르시아에 조공도 바쳐야 했기에 그들로서는 최선이었을 것이다. 하나님은 우리의 진실한 마음을 보시는 분이시다.
2 귀환 공동체는 율법의 규례를 따라 첫 소산을 제사장들에게 주어 성전 운영과 그들의 생활을 위해 쓰게 했고, 레위인들을 위해 십일조를 바치기로 한다. 제사장과 레위인들은 백성이 풍성한 수확을 얻으면 그들도 풍성함을 누리고, 또 흉년이 들어 소출이 적으면 그들도 백성과 함께 빈궁한 생활을 해야 했다. 이처럼 헌금은 공동체가 하나님이 주신 것으로 서로를 섬기면 나누는 것이며, 이를 통해 함께 하나님을 예배하게 한다.
3 헌물은 바치고 모으는 것뿐만 아니라 그것을 어떻게 사용하느냐도 아주 중요하다. 느헤미야는 레위인들이 십일조를 받을 때 제사장을 입회시켜 재정의 투명성을 확보했다(38). 또 레위인들은 자기들이 받은 십일조에서 십일조를 떼어 성전에 바침으로써 그들 역시 공동체의 일원임을 표현했다. 이는 ‘하나님의 전을 버려두지 않기’ 위함이었다(39). 사사시대가 영적 암흑기가 된 이유도 헌물을 제대로 바치지 않고 성소의 재정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았던 것도 큰 이유다 (삿17:7-8; 삼상2:12-17). 우리는 교회 재정을 바로 세우는 것 또한 거룩함을 위한 중요한 일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주님, 자원하는 마음으로 하나님께 헌물을 드리며, 재정 또한 주의 뜻에 따라 운영함으로 교회가 거룩함을 유지하고 하나님의 영광을 계속 드러낼 수 있게 하소서!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