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26 (토) 갈4:12-20

2024.10.26 (토) 갈4:12-20 복음에 대한 논리적 설명은 마쳤지만, 율법주의자들의 미혹에 빠진 갈라디아 성도들에게는 논리적인 설명만으로는 부족함을 바울은 알았다. 그래서 지금까지의 논조와는 달리 그들과의 친분 관계에 근거해 설득하지 시작한다. 1 바울은 자신이 유대인의 정체성을 버리고 그리스도인이 된 것처럼, 갈라디아 성도들도 유대인이 되려 하지 말고 그리스도인이 되라고 권면한다(12). 바울이 갈라디아에 처음 갔을 때 몸이 아팠다. 당시 사람들은 병에 걸린 사람을 그다지 신뢰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들은 오히려 하나님의 천사를 영접하듯 바울을 영접했고, 바울을 진정으로 사랑했다(14-15). 이들은 바울의 외모를 보고 그를 따르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그들은 바울의 참된 말에 집중했고, 초라한 행색에도 불구하고 그를 사랑했다. 그런데 지금은 참된 말을 하는 바울을 멀리하고, 할례와 율법, 즉 인간의 겉모습을 중시하는 자들의 말을 듣고 있는 것을 보고 바울은 의아해한다. 사람의 외모, 학벌, 집안, 기타 외적 요사를 보고 지도자를 택하거나 그 말을 드는 어리석은 행동을 해선 안 된다. 2 예루살렘에서 온 유대인들은 진리가 아니라 성도들이 자신들에게 ‘열심을 내도록’, 즉 인기를 얻으려고 열정적으로 일하던 자들이었다. 이들은 교인들을 갈라놓고, 바울을 공격하는 것을 서슴지 않았다. 진리를 위하 열정은 유익하지만(18), 자기 세력을 늘리려는 열정은 경계해야 한다. 바울은 이미 갈라디아 교회를 세우고 떠난 상태였지만, 상황이 어린 그들 안에 그리스도의 형상을 이루기까지 해산의 수고를 다시 할 수밖에 없었다. 이제 바울은 ‘내 음성을 바꾸었으면 좋겠다(언성을 높여야겠다)’는 말로 이어지는 의혹을 해소하기 위한 준비를 한다. 병에 걸려 연약한 모습으로 다가가서, 진리를 전할 때 성령께서 함께하셔서 갈라디아 교회가 세워졌다. 성도는 어떤 지도자를 따르고 사랑해야 하는가를 잘 보여 준다. 주님, 우리모두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않는 일꾼으로 성장되게 하소서!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3.6 (목) 요18:28-40

2025.1.15 (수) 요5:1-18

2025.2.28 (금) 요16:2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