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9.16 (월) 느9:1-8

2024.9.16 (월) 느9:1-8 성벽 재건과 초막절의 절기를 다 마친 후, 또다시 모여 회개와 말씀과 기도의 삶을 살아가기로 결단하는 이스라엘 백성의 모습을 통해, 나의 부흥의 삶을 돌아봐야 한다. 참된 부흥은 잠시 잠깐 스치고 지나가는 변화의 바람 정도가 아니다. 1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온 이스라엘 백성이 학사 에스라의 인도로 초막절 절기를 성대하게 마무리한 지 이틀 만에 다시 모였다. 율법의 지시를 넘어 일상을 더욱 거룩하게 살고자 하는 소망이 생긴 것이다. 부흥의 열정은 백성들이 금식하며 굵은베 옷을 입고 티끌을 뒤집어쓰는 회개와 자복의 표로 나타난다(1). 지금까지 이방인과 통혼함으로써 언약 백성의 정체성을 상실했던 자신들의 죄를 회개하며 돌이켰다. 또한 지금의 상황이 과거 선조들로부터 이어져 온 죄에 기인했음을 인정하며 현재에 이르는 모든 죄를 총체적으로 회개했다. 죄를 끊어 내는 사람만이 하나님의 의로운 손을 붙들 수 있다. 2 우리가 회개한 후 다시 죄악의 삶으로 되돌아가는 패턴을 반복하는 이유가 어디에 있을까? 그저 청소만 했을 뿐 그 집을 성령님께 내어 드리지 못해 악한 영의 다스림을 받기 때문이다(눅11:24-26). 우리 안에 거하시는 성령님은 말씀을 조명하셔서 우리로 하나님의 뜻을 깨닫게 하신다. 이스라엘 백성은 초막절 절기 내내 학사 에스라가 읽어 주는 하나님의 말씀을 들었다 (8:18). 말씀에 대한 깨달음은 회개로 이어졌고 회개는 말씀에 대한 갈급함으로 이어졌다(3). 말씀의 지표가 없으면 회개는 입에 발린 말이 되고, 거룩함은 허황된 목적이 된다. 우리 마음을 말씀으로 더 채워지도록 간구하자. 3 성도는 회개를 통해 다시 주의 말씀을 받아들이고 그 말씀을 기초하여 주의 뜻을 분별하고 순종할 수 있도록 기도하며 살아가야 한다. 신비로운 것만 바라거나, 성경을 연구하듯 이성적이기만 해서도 안 된다. 하나님을 경외하는 레위인들은 단에 올라 하나님께 부르짖으며 기도를 인도했다(4). 그들의 기도는 하나님의 구원 역사, 즉 하나님의 과 언약 백성의 삶이었다(5-8). 우리는 말씀으로 기도하고, 그 기도를 통해 하나님의 음성을 들어야 한다. 기도로 하나님과 교제할 때 승리의 삶을 살 수 있는 것이다. 주님, 하나님과 멀어지게 하는 모든 것을 철저히 끊어내는 회개와, 주의 말씀으로 채우고, 기도를 통해 주의 뜻을 순종하며 깨닫게 하소서!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4.10 (목) 민12:1-8

2025.3.6 (목) 요18:28-40

2025.2.28 (금) 요16:2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