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8.3 (토) 왕하18:26-37
2024.8.3 (토) 왕하18:26-37
유다는 연이은 앗수르 군대의 침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산헤립 왕이 보낸 군대 장관의 모욕과 회유를 성안에 있던 백성이 모두 들었다. 싸우기도 전에 포기하게 만드는 책략이 사탄을 닮았다. 이럴 때 성도는 어디에 마음을 둬야 하나?
1 히스기야가 보낸 신하들이 ‘히브리어로 말하지’ 말아 달라는 희대의 요청을 한다. 성안의 백성이 그 모든 말을 듣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랍사게는 계속해서 히브리어로 백성의 마음을 약하게 했고 회유하여 앗수르 왕에게 투항하게 위협했다. 히스기야와 여호와를 의뢰하지 말고, 지금 당장 포도와 무화과를 먹고 각각 자기의 우물을 마실 것’이라는 달콤한 말로 백성을 유혹한다(31). 사람의 욕망을 정확히 건드린다. 진실을 숨기고 현실을 과장해 마음을 무너뜨리고, 욕망을 자극하는 헛된 약속으로 변심시키는 것이 바로 사탄의 특기다. 지금도 사탄은 ‘누가’ ‘내 손에서’ ‘건지겠느냐’며 사람들을 유혹한다. 하나님을 신뢰하려는 마음에 의심을 심고, 답답한 현실에 낙심하게 만들고, 헛된 욕망을 자극해 변심케 만드는 사탄의 회유책에 넘어가서는 안 된다. 그 길은 오히려 진짜 낙심으로 인도한다.
2 랍사게는 앗수르가 점령한 여러 민족의 신들을 언급하면서(33-34), 유다의 신 여호와도 자기 백성을 앗수르의 손에서 건지지 못한다고 말한다. 세상의 모든 신은 사람의 손으로 만든 것이니 당연히 구원할 능력이 없다(행19:26). 그러나 여호와는 이스라엘을 이집트에서 인도해 내어 노예 된 것을 면하게 하시고,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으로 만드신 분이다(레26:13; 출19:5-6). 우리로 의심하고 변심하게 만들려는 사탄의 간계에 대항하는 방법은, 그분이 이루신 일을 기억하는 것이다 (신8:1-20). 오직 하나님만이 우리의 구원이며 산성이며 생명이 되신다는 믿음을 가진다면, 우리는 진정으로 평안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주님, 우리에게 영원한 만족이 되시는 하나님을 끝까지 신뢰하여 완전한 평안에 이르는 주의 거룩한 백성들 다 되게 하소서!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