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7.18 (목) 왕하12:9-21
2024.7.18 (목) 왕하12:9-21
개혁을 주도하고 나서는 것은 쉽지만, 자신이 개혁의 대상으로 전락하지 않고 초심을 유지하는 것은 쉽지 않다. 어떻게 하면 자기모순에 빠지지 않을까?
1 지금까지는 성전으로 들어오는 헌물 창구가 통일되지 않아 제사장들이 각자 헌금을 받고, 각 제사자들의 판단으로 제일 급한 일에 재정이 사용되었던 것 같다. 그렇게 되면 힘을 합쳐 이뤄야 할 일들이 우선순위에서 밀리게 마련이다. 이제는 성전 수리를 위해 드려진 은이 다른 용도로 쓰이지 않게 함으로 모든 일이 잘 진행되어갔다. 당연한 이치이지만 당시에는 그것이 지켜지지 않았기에 성정 보수가 늦춰진 것이었다. 아마도 여호야다가 살아 있는 동안에는 정직히 행한 왕으로 요아스가 평가받는 근거가 되었다.
2아람의 하사엘이 남 유다까지 위협하며 군대를 이끌고 진격해 왔다. 요아스는 당연히 유다를 지키실 하나님을 믿고 하사엘을 대적했어야 했다. 그러나 그는 성전에 바쳐진 성물과 성전의 곳간과 왕궁의 금을 다 하사엘에게 바침으로 전쟁을 피하는 방법을 선택했다. 위기 앞에서 그는 아달랴처럼 성전을 수탈했다(17-18). 이로 인해 그가 이뤘던 개혁은 물거품이 되고, 대제사장 여호야가 사후에 아세라 목상과 우상을 섬기게 된다. 여호야다의 아들 스가랴는 요아스에게 경고하고 심판의 메시지를 선포하다가 요아스의 명령으로 죽임을 당한다(대하24:18, 21). 성전을 수탈하고 우상을 섬기다가 암살당하고 말았다. 초심을 유지하지 못하면 아무리 과거에 올바른 길을 걸었다 하더라도 결국 나락으로 떨어지고 만다.
주님, 개혁의 주체였으나 개혁의 대상으로 추락하고 만 사람들의 길을 걷지 않도록 항상 깨어 있게 하소서!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