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7.17 (수) 왕하12:1-8
2024.7.17 (수) 왕하12:1-8
오늘 본문, 요아스 때 성전을 수리하는 이야기는 하나님의 백성, 교회와 신앙을 바로잡으려 할 때 그 개혁의 주체가 누가 되어야 하는지를 보여 준다.
1 요아스는 7세에 즉위해 제사장 여호야다의 교훈을 받는 동안에는 정직했지만, 여호야다의 사후에 심각하게 부패했다(2; 대하24:15-21). 산당 종교를 없애지는 못했던 것이다. 예후가 북 이스라엘의 아합 집안을 멸절시켰지만, 여로보암부터 내려온 금송아지 숭배에서 벗어날 수 없었듯(10:29), 아합의 딸 아달랴를 처단한 유다 역시 산당 종교를 제거하지 못했다. 죄악의 뿌리는 이처럼 견고하다. 시간이 지나면서 흐지부지되어 세상과 타협할 때는 절대로 죄악을 이길 수 없다.
2 어린 요아스에게는 아달랴에 의해 약탈당한 성전 보수는 당연하게 보였을 것이다. 그러나 성전보수의 명령은 23년이 지나도록 제대로 수행되지 않았다. 그 이유야 어떠하든 제사장들은 개혁의 주체가 될 수 없다는 사실이 드러나고 말았다. 사람들은 뭔가를 바꾸고 발전시키기보다는 기존의 질서 안에 머물려고 한다. 결국 개혁을 위해선 그 일을 행할 수 있는 사람들이 세워져야 한다.
3 여호야다를 비롯한 제사장들은 요아스를 왕으로 옹립해 다윗 왕조를 재건한 종교개혁자들이었다. 하지만 23년이 흘러 그들은 개혁의 대상이 되고 말았고, 그 개혁의 주체는 바로 자신들이 세운 왕 요야스였다(7). 다행히 제사장들은 왕 요아스의 책망에 저항하지 않고 자신들의 부족함을 인정해 자신들의 소관이었던 성전에 헌물 관리와 성전 보수하는 역할을 내려놓는 데 동의했다. 이를 보면서, 제사장은 자기가 세운 어린 왕에 의해 책망을 당하는 모습을 보면서, 무엇인가를 바로잡는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깨닫게 된다. 우리는 하나님 앞에 바로 서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늘 깨어 있어야 한다.
주님, 끊임없이 내 안에 있는 문제를 인식하고 바로잡아 가는 깨어 있는 공동체로 저희를 인도하여 주소서!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