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4.26 (토) 민15:22-31 범죄자를 재판할 때 죄질이 나쁘거나, 또는 정상 참작의 여지가 있다 등으로 구분한다. 하나님의 법에서도 마찬가지로 용서받을 수 있는 죄가 있는가 하면 절대 용서받을 수 없는 죄가 있다. 본문은 죄 용서의 기준을 제시한다. 1 부지중에 지은 죄에 대해 속죄제를 드리는 규정(22-24)은 레위기4장에도 이미 주어져 있다. 부지중에 지은 죄는 용서하신다는 사실을 모세를 통해 말씀하신다. 죄라고 생각하지 못하고 행한 것 뿐 아니라, 순간적 욕심이나 우발적인 분노 등으로 행한 죄와 범죄 이후에 곧 후회하고 잘못을 인정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보인다. 만약 가데스 바네아에서 이스라엘 백성이 반역을 했어도 회개하고 열 명의 정탐꾼인 족장들을 위해 숫염소로 속죄제를 드리고 제사장이 그 죄를 속죄함으로써 문제가 해결되었을 수도 있었다(24-28; 레4:14, 22-23, 27-28). 이처럼 하나님은 이미 백성의 연약함을 알고 계시기에 언제라도 회개하고 돌아오기만 하면 즉시 용서하시고 그 죄를 다 잊으시는 분이시다(사43:25). 2 그러나 ‘고의로’(히: ‘높이 든 손으로) 죄를 범한 자에게는 용서가 없다(30). 고의로 죄를 범해 하나님의 말씀을 멸시하고 계명을 깨뜨린 사람은 여호와 하나님을 비방한 것이 된다. 하나님을 원망할 때는 참고 계셨다가 그들이 여호수아와 갈렙에게 돌을 던지려 하자 심판을 선언하신 것이 바로 이 때문이다(14:10). 돌이킬 기회를 주셨지만 오히려 돌을 든 손으로, 즉 ‘높이 든 손으로’ 갈렙과 여호수아를 죽이려 했기에 용서하지 않으신 것이다. 가데스 바네아 사건 이후 이스라엘이 광야에서 보낸 38년의 기간은 가나안 땅을 향한 소망을 확고하게 하는 시간인 동시에 이스라엘 백성 중에 머물 자격이 없는 자들이 솎아지는 시간이기도 했다. 광야 같은 세상을 살아가면서 하나님 나라의 소망을 더 확고하게 품고 살아가는 알곡 같은 성도가 되어야 한다. 주님, 회개하고 용서...
2025.4.10 (목) 민12:1-8 우리는 억울한 일을 당하면 자연스럽게 격분한다. 모세는 에티오피아 여인을 아내로 맞이했다는 이유로 미리암과 아론에게 비난을 받았고 리더십에 큰 타격을 입었다. 이때 하나님이 직접 개인하셔서 모세의 권위를 인정해 주시며 당신의 선택과 주권을 확증하셨다. 1 미리암과 아론은 비방을 넘어 모세의 권위 자체를 흔들고 싶어 했다. 지도자의 권위가 자신들에게도 동일하게 하나님으로부터 주어졌다고 주장했다. 이들의 반역에 모세가 분노를 터뜨려도 마땅했겠지만, 모세는 세상에 있는 모든 사람 중 가장 온유한 자라고 성경은 평가한다. 성경에서 말하는 온유는 자아를 하나님께 굴복시켜 겸손해진 상태를 뜻한다. 모세는 미리암과 아론의 악행을 묵묵히 받아들였고 대항하지 않았다. 우리가 부딪히는 여러 억울한 상황은 우리에게 온유의 열매를 맺게 하시려는 하나님의 섭리임을 알아야 한다. 예수님은 당신을 따르는 그리스도의 사람들 모두 온유한 자로 살 것을 교훈하신다(마5:5). 2 모세가 미리암과 아론에게 감정적으로 대항하지 않았던 이유는 이 모든 상황을 감찰하시는 하나님을 믿었기 때문이다. 우리의 삶에 개입하시는 하나님께 전적으로 결과를 맡길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이 두 사람을 불러 친히 모세의 권위를 그들에게 확인시켜 주셨다. 모세를 반역한 죄가 곧 하나님을 향한 것임을 분명하게 말씀하셨다. 억울함 가운데 죄를 짓지 않으려면, 내 인내심을 의지하기 보다 하나님을 신뢰해야 한다. 하나님을 결코 우리를 혼자 내버려두지 않으신다. 우리가 바라고 기대한 것 이상으로 문제를 해결해 주시고 당신의 영광을 나타내신다 주님, 억울한 상황이라 할지라도 내 자아를 하나님의 뜻에 겸손히 굴복시키며 나의 자아를 철저히 부인하는 믿음의 성숙이 날마다 일어나게 하소서!
2025.4.9 (수) 민11:24-35 하나님의 약속대로 이스라엘 백성에게는 충분한 고기가 공급된다. 그러나 탐욕을 품은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풍성한 공급이 오히려 징계의 재앙이 되었다. 1 하나님의 명령대로 70명의 장로들이 선택되어 장막에 둘러 섰다. 그때 하나님께서 장로들에게 영을 나눠 주시자 그들이 예언하는 일이 일어났다. 예언은 성령이 임하실 때 종종 동반하는 현상이다(삼상10:6; 19:23-24; 왕하3:15; 욜2:28; 행2:4; 19:6). 그런데 모세 없이 예언이 선포되는 상황에 불안해하는 모습을 보인 여호수아와 달리, 모세는 하나님이 원하시면 누구에게나 그의 영을 부어 주실 수 있음을 강조한다 (29). 하나님은 얼마든지 원하시는 대로 선택하시고 행하시는 분이시다. 모세가 사람들 간의 시기나 질투를 넘어 하나님이 하시려는 일을 이해하고 수용하고 지지한 것처럼, 우리도 같은 마음으로 더 많은 사람이 하나님의 일에 동참하며 은혜 입기를 구해야 한다. 2. 바다에서 강한 바람을 타고 메추라기가 진영 사방에 떨어진다. 고기를 달라는 그들의 요청에 하나님은 ‘질릴 정도로 한 달 동안 먹게 하겠다’는 말씀을 이루셨다(20). 백성은 욕심을 좇아 엄청난 양의 고기를 모았다. 그런데 그들이 고기를 씹기도 전에 하나님의 심판이 임해 특히 탐심이 많았던 사람이 죽었다(33). ‘탐욕의 무덤(리브롯 핫다아와)’이라고 그 곳 이름을 붙였다. 하나님의 뜻이 아니라 자신의 탐욕으로 선택하는 것은 반드시 징계로 끝난다. 하나님은 아모스8:11 말씀을 통해 ‘양식이 없어 주림이 아니고 물이 없어 갈함이 아니라, 여호와의 말씀을 듣지 못한 기갈’이라고 오늘도 우리에게 경고하신다. 말씀을 대하는 태도가 바로 하나님을 대하는 태도인 것이다. 영적 기근에 빠져 죽지 않도록, 매일 공급해 주시는 은혜에 충분히 만족하고 하나님께 감사를 드리자. 주님, 주어진 상황에 만족하는지, 혹은 필요 이상으로 집착하는 것은 없는지 늘 깨어 돌아보며, 말씀에 충만한 삶을 살아가게 하...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