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3.6 (목) 요18:28-40 이제 예수님이 빌라도에게 끌려가 심문 당하는 장면이 19장 중반까지 이어진다. 재판 과정의 기록을 통해 우리는 유대인들의 고발이 부당하고 위선적이며, 예수님이 진리의 왕이심을 볼 수 있다. 1 가야바 재판에 관해 요한은 어떤 기록도 남기지 않고, 다만 ‘가야바 집에서 로마 총독의 관저로 끌고’ 갔다고만 말한다(28). 유대인들이 관저로 들어가지 않은 이유는 ‘유월절 음식’을 먹고자 함이었다. 정결예식을 위해서는 이방인의 관저에 들어가지 않으면서, 예수님을 고발하는 무고죄를 저지르는 그들의 모습을 요한은 고발한다(29). 그들은 이미 마음 속으로 예수님을 죽일 마음으로 사형언도가 가능한 재판정으로 온 것이다(31). 법을 이용해 자신의 목적을 이루려는 사악한 시도는 예나 지금이나 넘쳐난다. 그러나 하나님의 주권 아래 공의는 반드시 실행될 것이다. 2 예수님이 정치적 위협이 될 만한 인물인지 알고 싶어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고 묻는다(33). 이에 예수님은 자신의 통치가 이 세상에 속한 것이 아니라 영원한 진리에 관한, 더욱 크고 진정한 왕권을 기반으로 하고 있음을 말씀하신다. 그 나라에 속한 자들만 진리에 속한 자들이 며,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깨달을 수 있다(36-37). 빌라도는 이 진리의 말씀을 이해하지 못하고 ‘진리가 무엇이냐’고만 묻지만 진리를 알고자 하는 마음은 전혀 없었다. 그저 예수님께 죄가 없다는 것만 알았을 뿐이다(38). 불법적인 고발과 재판 속에서도 참된 왕권은 홀연히 빛났다. 3 예수님의 무죄를 알았던 빌라도는 더이상 유대인들과 마찰을 피하기 위해 유월절에 한 사람을 석방하는 관습을 좋은 핑계거리로 삼았다. 그러나 무지한 군중은 바라바라는 이름의 강도 살인자를 대신 석방할 것으로 요구한다(40). 성난 군중의 압력에 굴복해 공정을 버리고 정치적 안정을 택하는 모습은 선을 버리고 악을 취하며, 다른 이들을 협박해 죄에 동참시키는 것은 인간의 못된 본성이다(롬1:32). 이 부조리 속에서도 주...
2025.1.15 (수) 요5:1-18 인간의 역사는 예수님이 오시기 전과 후로 나뉜다. 예수님은 38년 된 병자를 안식일에 고치심으로 구시대의 질서를 깨고 새로운 시대가 열렸음을 보여 주신다. 예수님이 가져오신 새 시대의 특징은 과연 어떤 것인가? 1 베데스다 연못가에 있던 38년 된 병자의 삶은 말 그대로 죽지 못해 사는 인생이었다. 그는 천사가 연못에 내려왔을 때 자기를 못으로 데려가 줄 누군가를 하염없이 기다렸다. 그러나 아무도 도와주지 않아, 다른 사람들이 치유되는 것을 고통스럽게 바라봐야 했다. 그러던 어느 날 예수님이 그에게 찾아오셨다. 자리에서 일어나 침상을 들고 가라는 한마디 말씀으로 그를 온전히 치유해 주셨다. 예수님은 치유 받은 자에게 다시 심한 병이 생기지 않도록 죄를 짓지 말라고 말씀하신다. 그의 질병이 어떤 죄와 연관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용서받고 치유 받은 그에게 주님은 다시 죄를 짓지 말 것을 명하신다. 우리에게 주시는 주님의 명령이기도 하다. 옛 생활의 추하고 더러운 습관들을 벗어 버리고 구원을 주신 하나님께 감사하며 거룩한 성도로 살아가자. 2 예수님이 병자를 고치신 날은 안식일이었다. 그래서 유대인들 중에 예수님이 이런 일을 안식일에 행하셨다고 비난하기 시작했다. 예수님의 기적을 그들의 율법의식과 기반을 흔드는 도전으로 여겼다. 예수님을 그들을 향해 ‘아버지께서 지금까지 일하고 계시니 나도 일한다’고 말씀하셨다. 당신과 하나님이 하나임을 밝히신 것이다. 예수님은 정죄가 난무하는 구시대가 끝나고 당신이 친히 통치하시는 긍휼과 사랑의 새로운 시대가 왔음을 보여 주신 것이다. 예수님은 우리가 누리고 있는 하나님의 사랑을 이웃들과 나누도록 우릴 보내신다. 38년 된 병자와 같이 낙담과 좌절에 빠진 자들을 찾아가 그들을 섬기며 우리 왕이신 예수님의 사랑을 보여 주자. 예수님이 일하시니 나도 주님과 함께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일한다고 담대히 고백하는 저희가 되게 하소서!
2025.2.28 (금) 요16:25-33 예수님은 더이상 비유로 말씀하지 않으시고, 제자들에게 곧 닥칠 시험 앞에 흩어질 것과 당신이 담대하게 세상을 이기실 것을 확실히 말씀하신다. 1 비유는 아는 사람은 더 잘 알도록, 반면에 모르는 사람은 못 알아듣도록 하는 화법이다. 예수님은 이제 십자가의 때가 이르렀기에 더 이상 비유로 말씀하실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따라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구하는 기도의 특권과 능력을 다시 확인시켜 주신다(26). 성도는 기도를 통해 하나님 아버지와 더불어 사랑의 관계를 누릴 수 있다. 기도는 아버지께 나아가는 통로요, 주 예수의 이름으로 구하는 통로요, 하나님 아버지와 사랑을 주고받는 통로가 된다. 2 ‘다시 세상을 떠나 아버지께로 간다’고 말씀하시자(28, 제자들은 ‘지금에야’ 주님이 하시는 말씀을 이해할 수 있다고 말한다. 물론 부분적인 이해였다. “보라 너희가 다 각각 제 곳으로 흩어지고 나를 혼자 둘 때가 벌써 왔다”(32) 라고 말씀하신다. 예수님의 말씀이 이해가 되고 예수님을 믿게 되었다고 말하는 순간, 제자들의 약한 모습을 예언하신다. 제자들은 예수님의 말씀대로 뿔뿔이 흩어진다(마26:56). 그러나 예수님은 ‘내가 혼자 있는 것이 아니라 아버지께서 나와 함께 계신다”라고 하신다. 우리의 믿음은 불완전해도, 예수님을 믿는 믿음으로 하나님의 자녀가 된 우리들을 하나님은 지금도 신실하게 도우신다. 3 예수님은 긴 고별 강화를 마무리하시면서, 환난의 때에 담대해야 할 이유를 말씀하신다. 바로 ‘주 안에서’ 우리는 평안을 누릴 수 있다. 주님이 세상을 이기셨기 때문이다. 주님이 세상을 이기셨기에 성도는 담대히 세상과 맞서며 진정한 평안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세상을 이기신 주님 안에서 평안을 누리자. 담대하십시오!! 주님, 연약한 우리에게 주시는 강력한 승리의 메시지를 의지해 담대히 환난을 이겨 나가게 하소서!
Comments
Post a Comment